회사에서 외주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때였다.
요구하는 기능을 만들기 위한 기본기능을 만들고 있던 중.
만들던 기능은 하지 말고 요구하는 기능을 만들라는 원청업체의 이야기가 나왔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해당 기능 구현을 위한 회의가 열렸다.
원청업체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하기 위해 일을 급하게 진행하면,
나중에 다시 기본기능을 처리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이 더 많이 필요할 것이다라는 생각이 많았고,
나도 그렇게 생각했지만, 회사 상황상 무리하게 원청의 요구대로 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기간에 맞춰 순간순간의 고비를 넘기는 식으로 기능이 완성되어 갔다.
하지만 어느 시기가 도달하자 문제가 겉으로 드러나게 되었고,
문제 해결하지 않으면 더 이상 진행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임시방편으로 고쳐나가게 된다.
프로젝트가 완성될 때쯤 애초에 예상했던 기간 보다 2배 가까이 기간이 소요되었다.
그 뒤로도 진행한 프로젝트들도 회사 내부에서 하는 자체 프로젝트도 이런 흐름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압박감이 크냐 작냐의 차이 정도였고, 선택하면 안 되는 방향이라는 것을 모르는 상태면 그럴 수 있었지만,
비슷한 상황에 선택해서는 안 되는 선택을 항상 강요받는 경우들이 많았다.
잘못된 선택이 줄어들지 않고, 반복되었다.
실무자는 잘못된 가고 있다는 걸 체감했다.
그 결과는 회사와 직원 모두의 불만족인 결과를 낳았다.
어느 한쪽이라도 만족할 결과가 나올 줄 알았지만
어느 누구도 만족하지 않는 이상한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회사는 파산했다.
'03.긴글 > 003.우당탕 회사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 현재 게임은 유저가 선택한 모습이다. (0) | 2024.07.19 |
---|---|
#5 - 여름. 비 오는 날 사무실 (0) | 2024.07.18 |
#4 - 게임 점검 시간 (0) | 2024.07.17 |
#3 - 게임 서비스 오픈 하는 날 (0) | 2024.07.16 |
#1 - 청개구리 사람들 (0) | 2024.07.16 |